거버넌스4 한국 주식에 미래는 있는가 https://www.youtube.com/watch?v=Xf3FWShP4bg&t=1625s&pp=ygUZ7Ja4642U7Iqk7YWQ65SpIO2Zjey2mOyasQ%3D%3D 과연 국내 저평가 자산주의 미래는 없을까. (저평가라고 부르기도 좀 민망하긴 하다. 대주주 하는 짓 때문에 PBR 0.1이면 적절하게 평가된 것 같다) 그 어떤 정권도 손보지 못하고 대주주, 총수일가 친화적인 스텐스를 취하고 있지만, 그래도 개선될 여지가 있다고 본다. - 외국인 주도가 아닌 국내 행동주의 펀드들의 활동이 많아졌고 - KCGI, 얼라인파트너스 등의 행동주의를 통해 거버넌스 개선에 성공한 사례도 나왔고 (SM, 오스템임플란트 등) - 유튜브, 텔레그램, 페이스북을 통해 개인투자자들의 금융지식 수준이 향상되었고 - .. 2023. 8. 24. [메리츠금융지주] 주가 상승을 보며 메리츠금융지주를 보며 실적 + 거버넌스 = 떡상 이라는 당연한 공식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비록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이지만 대견하다ㅜㅜ 메리츠를 시작으로 실적뿐만 아니라 거버넌스까지 개선되는 국내 회사들이 많이 나와주었으면 한다. 2022. 12. 2. [리뷰] 좋은 기업 나쁜 주식 이상한 대주주 행동주의 펀드 KCGI의 강성부 대표가 이야기하는 기업 지배구조 이슈. 요즘 계속 언급되는 내용들과 비슷한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의 인세 수익금은 전액 기업 지배구조 관련 연구단체에 기부된다고 하니, 내용도 좋고 취지도 좋은 책이다. page2 일 잘하네. 책 후반부에는 갑자기 4차 산업 혁명과 관련된 산업, 테슬라 이야기를 하길래 좀 지루해서 후딱 읽어버렸다ㅎㅎ 하지만 중반부까지 이어지는 거버넌스에 대한 이야기는 꼭 정독해야 한다 강성부 대표의 K거버넌스 개선 방안 1. 감세 : 배당소득에 대한 분리 과세, 상속 증여세율 인하 등 2. 이사회 독립성 : 이사의 신의성실 의무가 회사뿐 아니라 전체 주주로 확대 해석 등 3. 일반 주주 보호 및 대주주 견제 : 일반 주주들의 다수결 도입 검토, 다중대표소송.. 2022. 3. 1. 합의물자자수집중 -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 문제 by 김규식 변호사 얼마 전 삼프로TV에 나와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 문제에 대해 이야기한 김규식 변호사가 핫하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의 2대 회장인 김규식 변호사는 현재 싱가포르 헤지펀드 Ternary Fund Management의 펀드매니저이다. 한국기업거버넌스포험(http://www.kcgf.kr/)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니 자세한 설명이 되어 있다. 현재 입법을 추진하려고 노력 중인 것으로 보인다. 국내 기업들이 ESG 중 환경에만 집중하고 마지막 거버넌스는 무시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한국거버넌스포럼과 더불어 행동주의 펀드들이 더 큰 목소리를 내서 제발 기업 거버넌스의 선진화가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김규식 변호사는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 문제를 '합의물자자수집증'이라는 7가지로 요약한다. 각 항목의 내용은 다음과 같.. 2022. 2.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