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2 [기업분석] LG생활건강 (2) 3. 한계점 LG생활건강의 해외매출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49% 매출과 이익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뷰티 사업부문의 중국 의존도가 너무 크다. 브랜드 경쟁력을 계속 유지해 준다면 좋겠으나, 과거 사드 배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매출에 타격을 줄 수 있다. 중국 외에 판매지역 다각화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 시킬 필요가 있다. LG생활건강도 이 점을 인지하고 있는 바, 미국 시장을 타겟으로 판매 지역 확장을 꾀하고 있다. 미국 내 화장품 회사인 '뉴에이본'의 지분 100%를 1억2,500만 달러에 인수 헤어케어 브랜드 ARCTIC FOX를 보유한 '보인카'의 지분 51%를 1억 달러에 인수 미국 시장에서 매출을 늘려 중국 의존도를 낮춘다면 더욱 안정적인 실적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2022. 1. 2. [기업분석] LG생활건강 (1) 1. 비즈니스 모델 흔히들 LG생활건강하면 후, 비누, 샴푸, 치약, 코카콜라 파는 회사 정도로 생각한다. 분기보고서를 살펴보면 맞다. 그런거 파는 회사다. 2. 실적 분석 3Q2021에서 화장품의 매출 비중이 54.4%로 나온다. 코로나 여파로 얼마나 줄어든 수치인지 과거 사업보고서를 보면 코로나 이전인 2018, 2019에는 75%를 상회했는데, 비중이 점점 적어지고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아무래도 외국인의 출입이 자유롭지 못해 면세점이 부진한 탓이니 당연하겠다. 음 그런데 코로나 여파로 매출과 이익이 크게 떨어졌을거로 생각한 LG생활건강 전체 매출액, 영입이익은 코로나 전후가 그렇게 큰 차이가 나지 않는걸 발견할 수 있다. 심지어 코로나가 터진 2020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대비 늘.. 2022. 1. 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