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업
해상 운송을 담당하는 상선부터 *해양 플랜트 같은 비 항해용 선박까지 제조하는 산업. 선박을 제조하는 것을 건조라고 부르며 목적에 따라 상선, 특수작업선, 군함, 어선 등으로 분류함.
* 해양플랜트 : 바다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 가스와 같은 해양 자원들을 발굴, 시추, 생산해내는 활동을 위한 장비와 설비를 포함한 제반 사업
배 한 척을 만드는 데 2~3년의 시간이 소요되며 선박은 큰 블록들을 조립, 용접해서 만드는데, 선박의 특성상 한 주문에서 요구하는 특정한 배 한 개만 생산하게 됨. 자동화가 불가하기 때문에 노동 기술 집약 산업으로 분류됨.
선박 종류
Bulk Carrier :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전용선
Full Container Ship : 컨테이너 화물만을 수송하는 전용 선박
Pure Car Carrier : 각종 차량을 운반하는 선박
Dry cargo : 곡물, 광석, 석탄 등과 같이 고정된 형태의 화물
Liquid cargo : 원유, 가솔린, 천연가스, 화학제품 등과 같이 액체 또는 반액체 형태의 화물
회사마다 주력 분야가 있으며 국내 조선 Big3는 상선을 제조함.
전 세계 수출입 화물이 대부분 바다를 통해 이동하고 해상 운송을 담당하는 해운사들이 상선을 통해 화물을 운송함. (2017년 까지 전 세계 운송 중 99.7%가 해상운송, 0.3%가 항공 운송)
국내 조선 BIG3
한국조선해양
LPG 운반선에 특화. 2021년 1분기 전 세계에서 발주된 8만 톤급 이상 대형 LPG 운반선 15척 중 10척을 수주(시장 점유율 66%). 전 세계 중형 LPG 운반선 13척은 모두 한국조선해양이 수주. 현재 현대중공업 그룹의 중간지주사로 위치해 있음.
삼성중공업
대형 컨테이너선에 특화. 2021년 1분기 세계 12,000 TEU 컨테이너선 66척 중 34척 수주 (점유율 52%), 2021년 3월에는 15,000 TEU급 20척을 한 번에 수주.
*TEU : 적재할 수 있는 20피트 컨테이너의 수 단위.(12,000 TEU는 12,000개)
대우조선해양
초대형 유조선(VLCC : Very Large Crude-oil Carrier)에 특화. 전세계에서 운항 중인 초대형 유조선 870척 중 167척은 대조가 건조함.
Heavy tail 계약
선박이 제작되는 기간을 5단계로 나누고 조선회사가 선박을 다 만들어 선주에게 인도할 때가 되어야 결제대금을 받는 구조. 따라서 조선사들은 배를 완성해 인도하기 전까지 스스로 자금을 조달해서 배를 만듦.
선박 한대를 건조하는데 수천억이 드는데, 배를 만들기 전까지 스스로 건조비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금융이 뒷받침되어야 함.
계약시 10%만 지불하면 되니 자금 사정이 나쁜 선사들도 선박 발주에 참여하고 완공했을 땐, 핑계로 인도를 취소하는 경우도 생겨서 조선사의 재무 구조가 악화될 수 있음. 이를 미청구 공사액이라고 부르는데 삼성중공업의 경우 2016년 매출액 대비 미청구 공사액이 51.1%에 달함.
조선업 특징
조선업은 해운업과 밀접한 연관관계가 있으며 사이클의 특성을 가짐.
세계 경기 호황 > 교역량 증가 > 운임 증가 > 해운 산업 호황 > 신규 선박 발주량 증가 > 조선업 호황
해운업 영향 외에도 노후 선박 교체, 투기 심리, 규제 등이 영향을 끼치며 7~8년 주기로 사이클이 찾아옴.
대호황기를 뜻하는 슈퍼사이클은 30년 주기로 오는데 1973년, 2003년을 1,2차 슈퍼 사이클로 봄. 다음 3차 슈퍼 사이클은 2033년 정도로 예측할 수 있으나, 시장에서는 친환경 비즈니스 패러다임으로 인해 2033년보다 빨리 올 것으로 판단.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격 인상으로 알아보는 투자 아이디어 (1) | 2022.02.08 |
---|---|
[아세아시멘트] 매출, 이익, 영업이익률 추이 (0) | 2022.02.04 |
합의물자자수집중 - 한국 기업의 거버넌스 문제 by 김규식 변호사 (1) | 2022.02.01 |
효율적 시장 가설에 대한 워렌버핏의 생각 (0) | 2022.01.29 |
신용공여 잔고 추이(2022.01.26) (0) | 2022.01.27 |
댓글